|
 |
|
 |
|
고혈압은 유전적 소인이 있어서 부모가 모두 고혈압이면 자녀는 90%가 고혈압이고, 부모 중 한쪽이 고혈압이면 자녀는
40-50%가 고혈압이 됩니다. 특히 고혈압은 남자가 많고 여자도 폐경기가 지나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냅니다.
| | |
|
 |
|
 |
 |
|
 |
|
 |
본태성 고혈압 |
|
아직 그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이런 형태의 고혈압이 90%
이상입니다. |
① |
유전적 요인으로 본태성 고혈압을 유발시키는 특이한 유전자의 이상은
밝혀진 바 없으나, 쌍둥이나 가족연구를 통해서 고혈압 발생의 30~60 %가 유전적 요인에 의해 설명된다고 합니다. 이러한 유전적 요인의 임상적
중요성은 가족력상 고혈압이 있을 때 자주 혈압을 측정하고 혈압 상승의 환경적 요인에 노출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고혈압의 합병증 발생을 막는 데
있습니다. |
② |
혈관의 비대로 혈관 수축과 구조적 비대에 의한 말초혈관저항의 증가가
관여합니다. |
③ |
인슐린혈증 특히 비만인 경우 말초 인슐린 저항이 발생하여 혈관이
상승하며 이를 교정하기 위해 인슐린의 생산이 증가합니다. |
④ |
과량의 염분섭취로 인한 혈관 내 용적 증가로 세포 내 염분밀도 증가와
연관되고 이는 세포 내 칼슘농도를 증가하게 되어 혈관의 긴장도를 높임으로써 고혈압이 유발됩니다. |
⑤ |
레닌-안지오텐신의 혈역학적 변화와 스트레스에 의한 카테콜라민 증가,
교감신경계의 항진 등이 관여합니다. | | |
|
 |
|
 |
 |
|
 |
|
 |
이차성 고혈압 |
|
기존 질환으로 인해 고혈압이 발병하는 경우로서 원인 질환을 찾아 치료하면 고혈압이 해결되기도
합니다 |
① |
신질환이 가장 많은데 만성 신우신염, 사구체 신염, 폐쇄성,
요로질환, 신종양, 신손상, 선천성 신질환 등이 포함됩니다. |
② |
혈관 질환으로 신동맥 협착, 대동맥 축착(대동맥이 좁아져 있는
질환), 신동맥 혈전, 신정맥 혈전 등이 있습니다. |
③ |
내분비 질환으로 쿠싱 증후군, 갈색종, 1차성 고알도스테론 혈증,
갑상선 기능 항진증,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, 선천성 부신 성기 증후군, 신경 모세포종 등이 있습니다. |
④ |
중추 신경계 질환으로 종양, 출혈 등이 포함됩니다. |
⑤ |
임신, 피임약 등의 약물, 일부 마약으로 인해 발생하기도
합니다. | | |
|
 |
|
 | |
|